in.add()

LESSON 21. 서브넷의 구조 본문

Book/모두의 네트워크

LESSON 21. 서브넷의 구조

idan 2022. 6. 18. 22:23

서브넷이란?

  •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P 주소는 A, B, C 클래스로 나누어져 있다.
  • 예를 들어 A 클래스 네트워크는 호스트 ID가 24비트여서 IP 주소를 1677만 7214개 사용할 수 있다.
  • 이렇게 많은 수의 컴퓨터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하면 모든 컴퓨터에 패킷이 전송되고 네트워크가 혼잡해진다.
  •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며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.
  • 이렇게 하면 더 많은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어서 IP 주소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.
  • 이처럼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넷팅(subneting)이라고 하고,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(subnet)이라고 한다.
  • 서브넷팅되면 구성이 '네트워크 ID + 호스트 ID'에서 '네트워크 ID + 서브넷 ID + 호스트 ID'로 변경된다.
  • 원래 호스트 ID로 사용되던 비트를 서브넷 ID로 바꾸는 것.

서브넷 마스크란?

  • IP 주소를 서브넷팅하면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ID고 어디부터가 호스트 ID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.
  • 그럴 때 서브넷 마스크라는 값을 사용한다.
  • 서브넷 마스트킄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이다.
  • 32비트의 값으로 A 클래스는 255.0.0.0, B 클래스는 255.255.0.0, C 클래스는 255.255.255.0이 된다.
  • 프리픽스(prefix) 표기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프리픽스 표기법 : 서브넷 마스크를 슬래시(/비트 수)로 나타낸 것으로 255.255.255.0은 /24가 된다.
  • C 클래스릐 IP 주소를 서브넷팅 해보자.
  • C 클래스이므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ID가 24비트지만 네트워크 ID를 28비트로 변경하면 4비트를 호스트 ID에서 빌리게 되는 것이다.
  • 즉, 네트워크 ID가 24비트, 서브넷 ID가 4비트, 호스트 ID가 4비트가 된다.
  • 이처럼 서브넷팅하여 여러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.
  • 이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.255.255.240인데 이것을 프리픽스 표기법으로 바꾸면 /28이 된다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