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
LESSON 23. 전송 계층의 역할 본문

Book/모두의 네트워크

LESSON 23. 전송 계층의 역할

idan 2022. 6. 19. 14:29

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

  • 물리 계층, 데이터 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의 3 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.
  • 하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이들 계층에서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다.
  • 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.
  • 첫 번째 역할 : 우선 전송계층에는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다.
  •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.
  • 네트워크 계층은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달하고, 전송 계층에서는 데이터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는 것.
  • 두 번째 역할 :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.
  •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아도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해야 하는지 모르면 곤란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해야 한다.

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

  • 전송 계층의 특징을 간단히 설명하면 신뢰성/정확성과 효율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,
  • 신뢰성/정확성은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이고, 효율성은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.
  • 여기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을 연결형 통신,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을 비연결형 통신이라고 한다.
  • 연결형 통신은 상대편과 확인해 가면서 통신하는 방식이고 비연결형 통신은 상대편을 확인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.
  • 일반적으로 신뢰성과 정확성이 보정되지 않는 통신은 사용하고 싶지 않을 수 있다.
  • 하지만 동영상을 볼 때는 비연결형 통신을 사용한다.
  • 동영상은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보다 빠른 전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.
  • 데이터가 늦게 도착해서 화면이 버벅거리는 동영상을 보는 것보다는 데이터가 약간 유실되더라도 원활하게 보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.
  • 전송 계층의 연결혈 통신 프로토콜에는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가 사용되고, 비연결형 통신 프로토콜에는 UDP(User Datagram Protocol)가 사용된다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