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LESSON 22. 라우터의 구조 본문
라우터란?
-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라우터가 필요하다.
-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.
- 한편 스위치(레이어 2 스위치)만 있는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컴퓨터와 스위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게 된다.
- 네트워크를 분할한 다음 다른 네트워크로 접속하려면 라우터의 IP 주소를 설정해야 한다.
- 이것은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설정하는 것으로 기본 게이트웨이(default gateway)라고 한다.
- 라우터의 IP를 지정하는 것으로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지정하고 일단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예를 들어 192.168.1.0/24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한다면 192.168.1.1로 설정한다.
- 기본 게이트웨이가 설정되었지만 아직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 수 없다.
- 추가로 라우팅(routing) 기능이 필요하다.
라우팅이란?
-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이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이 라우팅 테이블이다.
- 라우팅 테이블 등록 방법으로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.
-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고,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.
-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정보를 하나하나 라우터에 등록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.
- 또 등록된 내용이 수정되면 수동으로 변경해야 해서 작업량도 많아진다.
- 한편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자동으로 수정해 준다.
- 이처럼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.
- 이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그것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해 나간다.
-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RIP, OSPF, BGP 등이 있고 각각 특징이 있다.
'Book > 모두의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SSON 24. TCP의 구조 (0) | 2022.06.19 |
---|---|
LESSON 23. 전송 계층의 역할 (0) | 2022.06.19 |
LESSON 21. 서브넷의 구조 (0) | 2022.06.18 |
LESSON 20.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(0) | 2022.06.18 |
LESSON 19. IP 주소의 클래스 구조 (0) | 2022.06.18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