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
LESSON 18. IP 주소의 구조 본문

Book/모두의 네트워크

LESSON 18. IP 주소의 구조

idan 2022. 6. 17. 21:50

IP 주소란?

  •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)에게 받을 수 있다.
  • IPv4(32 비트), IPv6(128 비트) 버전 두 가지가 있다.
  • IP 주소가 부족해져서 생긴것이 IPv6.
  • 종류로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있다.
  •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)가 제공한다.
  • IPv4 주소는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에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에는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고,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는 정책을 사용한다.
  • 예를 들어 랜 안에 컴퓨터가 여러 대 있다면 공인 IP 주소는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제한되므로 컴퓨터 한 대당 공인 IP 주소를 하나씩 할당하기가 어렵다.
  • 그래서 우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공인 IP 주소는 라우터에만 할당하고 랜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기능을 사용하여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한다.
  • 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: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.
  •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는 모두 2진수의 32비트를 동일하게 사용한다.
  • 10진수로 표시하지만 실제로 IP 주소는 2진수로 되어 있다.
  • 또 이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눠져 있다.
  • 네트워크 ID는 어떤 네트워크 인지를 나타내고, 호스트 ID는 해당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 인지를 나타낸다.
  • 이 두가지 정보가 합쳐져서 IP 주소가 되는 것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