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LESSON 13. MAC 주소의 구조 본문
랜 카드를 제조할 때 정해지는 물리적인 주소에 대해 알아보자.
MAC 주소란?
- Media Access Control Address
- 랜 카드에는 MAC 주소라는 번호가 정해져 있다.
- 제조할 때 새겨지기 때문에 물리 주소라고도 부르는데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로 할당된다.
- 48비트 숫자로 구성되며 앞쪽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고 뒤쪽 24비트는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붙인 일련번호다.
-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, TCP/IP 모델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붙인다.
- 이더넷 헤더는 목적지의 MAC 주소(6바이트), 출발지 MAC 주소(6바이트), 유형(2바이트) 이렇게 총 14바이트로 구성된다.
- 이더넷 유형은 이더넷으로 전송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타낸다.
- 트레일러는 데이터 뒤에 추가하는 것으로 FCS(Frame Check Sequence)라고도 하는데, 데이터 전송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.
- 이처럼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된 데이터를 프레임이라고 한다.
-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수신 측의 컴퓨터는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와 비교하여 같다면 데이터를 수신, 다르다면 데이터를 파기한다.
'Book > 모두의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SSON 15.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(0) | 2022.06.12 |
---|---|
LESSON 14. 스위치의 구조 (0) | 2022.05.22 |
LESSON 12.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(0) | 2022.05.21 |
LESSON 11.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(0) | 2022.05.21 |
LESSON 10.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(0) | 2022.05.21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