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
LESSON 11.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본문

Book/모두의 네트워크

LESSON 11.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

idan 2022. 5. 21. 22:19

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인 리피터와 허브.

리피터란?

  • 리피터는 전기 신호를 정형(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)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이다.
  • 멀리 있는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.
  • 하지만 요즘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의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쓸 필요가 없다.

허브란?

  • 포트(실제로 통신하는 통로)를 여러 깨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 고도 불린다.
  •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 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신할 수 있다.
  • 랜 케이블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허브를 연결할 수 있다.
  • 허브는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.
  • 컴퓨터에서 보낸 전기 신호가 허브에 도착하는 동안 노이즈의 영향으로 파형이 변경될 때가 있다.
  • 그럴 때 허브가 파형을 정상으로 돌리는 기능을 한다.
  • 물론, 컴퓨터 여러 대를 서로 연결하는 장치이기도 하다.
  • 하지만 허브는 어떤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도 받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.
  • 이처럼 허브는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전기 신호를 모든 포트로 보내서 더미 허브(dummy hub)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.
  • 그 대책으로 나온 게 스위치(switch)라고 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