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
LESSON 15.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본문

Book/모두의 네트워크

LESSON 15.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

idan 2022. 6. 12. 19:33

케이블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이 전송되어도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.

전이중 통신과 반이중 통신

  •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이고, 반이중 통신 방식은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이다.
  • 전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반이중 통신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.
  • 컴퓨터 간을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이 전이중 통신 방식이다.
  • 허브를 사용하면 허브 내부에는 송수신이 나누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회선 하나를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는 반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.
  • 스위치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.
  • 허브를 사용하면 충돌이 생기면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네트워크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표준이다.

충돌 도메인이란?

  •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충돌 도메인(collision domain)이라고 한다.
  • 허브는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전체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이 된다.
  • 충돌의 영향이 모든 컴퓨터에 미치는 것.
  • 스위치는 충돌 도메인이 좁다.
  •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넓을수록 네트워크가 지연된다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