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LESSON 32.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본문
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
- OSI 모델의 전체적인 관점으로 데이터가 전달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살펴보자.
- 구체적으로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할 때부터 웹 서버에 도착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OSI 모델의 캡슐화와 역 캡슐화를 살펴보자.
- 웹 사이트에 접속해야 하므로 응용 계층에서 시작한다.
-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캡슐화가 시작된다.
- 3-way 핸드셰이크는 이미 완료되어 연결이 확립되어 있다고 가정.
- 응용 계층에서는 웹 서버에 있는 html 데이터를 얻어야 하므로 'GET/index.html HTTP/1.1 ~'과 같은 HTTP 메시지를 보낸다.
- 이 데이터가 전송 게층에 전달되고 TCP 헤더가 붙는다.
- 출발지 포트 번호는 잘 알려진 포트가 아닌 포트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되고 목적지 포트 번호는 HTTP이므로 80번 포트가 된다.
- TCP 헤더가 붙은 세그먼트는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된다.
- IP 헤더(출발지 IP 주소, 목적지 IP 주소)가 붙어 IP 패킷이 된다.
-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된다. 이더넷 헤더가 붙고 이 데이터를 이더넷 프레임이라고 한다.
- 그다음으로 물리 계층에서 랜 카드를 사용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로 전송된다.
'Book > 모두의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SSON 36. SSID의 구조 (0) | 2022.07.03 |
---|---|
LESSON 35. 무선 랜의 구조 (0) | 2022.07.03 |
LESSON 31. 메일 서버의 구조(SMTP와 POP3) (0) | 2022.06.19 |
LESSON 30. DNS 서버의 구조(이름 해석) (0) | 2022.06.19 |
LESSON 29. 웹 서버의 구조(웹 사이트 접속) (0) | 2022.06.19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