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.add()
LESSON 29. 웹 서버의 구조(웹 사이트 접속) 본문
WWW란?
- 인터넷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WWW는 HTML, URL, HTTP라는 세 가지 기술이 사용된다.
HTTP란?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는 웹 사이트를 보기 위해 서버(웹 서버 프로그램)의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HTTP 통신을 한다.
- 클라이언트에서 HTTP 요청(request)을 보내고 서버에서 HTTP 응답(response)을 반환한다.
-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는 "GET"이라고 하는 요청 정보, 파일 이름, 버전 등을 서버에 전송한다.
- 그럼 서버는 응답으로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했다는 "OK"라는 정보를 반환하고 index.html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.
- HTTP/1.0 버전에서는 요청을 보낼 때마다 연결했다 끊는 작업을 반복했다.
- HTTP/1.1 버전에서는 keepalive라는 기능이 추가되어 연결을 한 번 수립하면 데이터 교환을 마칠 때까지 유지하고, 데이터 교환을 모두 끝내면 연결을 끊는 구조가 됐다.
- keepalive는 요청도 순서대로 처리하는 특징이 있다.
- HTTP/2 버전은 요청을 보낸 순서대로 응답을 반환하지 않아도 된다. 그래서 빠르게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.
- keepalive의 요청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특징의 단점인 이전 요청의 처리 시간이 길어지면 다음 요청에 대한 처리가 늦어지는 것을 보완한 것.
'Book > 모두의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SSON 31. 메일 서버의 구조(SMTP와 POP3) (0) | 2022.06.19 |
---|---|
LESSON 30. DNS 서버의 구조(이름 해석) (0) | 2022.06.19 |
LESSON 28. 응용 계층의 역할 (0) | 2022.06.19 |
LESSON 27. UDP의 구조 (0) | 2022.06.19 |
LESSON 26. 포트 번호의 구조 (0) | 2022.06.19 |
Comments